청결상태(따하라)의 뜻

청결상태(따하라)의 뜻


청결상태(따하라)의 어원적 의미는 깨끗함, 청결함, 순수함 등이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무슬림에게 외면과 내면을 청결히 하라고 명령하셨습니다. 외면의 청결함이란 외부에 드러나는 금지된 것이나 더러운 것이나 오물로부터의 청결을 뜻하며, 내부의 청결함이란 우상숭배나 마음의 병 –예를 들어 시기심, 거만함, 증오심-으로부터의 청결을 뜻합니다. 따라서 청결을 유지하는 것은 하나님의 사랑을 불러들이는 원인이 됩니다. 지고하신 그분께서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습니다. “실로 하나님께서는 뉘우치는 자들을 사랑하시며 그분께서는 청결한 자들을 사랑하시노라.”(꾸란 제 2장 222절)

하나님께서는 예배를 위해 청결(따하라)을 명령하셨습니다. 왜냐하면 예배는 찬미받으실 하나님을 만나고 그분과 대화하는 통로이기 때문입니다. 대통령이나 왕을 만날 기회가 있다면 우리는 몸을 깨끗이 하고 가장 좋은 옷을 입을 것입니다. 찬미받으시고 지고하신 하나님은 왕 중의 왕이시기에 그분과 만나기 위해 우리는 청결해야 하는 것입니다.


예배를 위해 갖추어야 하는 청결상태(따하라)는 무엇인가?

하나님께서는 무슬림에게 청결상태(따하라)에 머물 것을 명령하셨고, 특히 예배를 드릴 때나 꾸란을 만질 때나 따와프(카으바 주위를 도는 경배행위)를 하고자 할 때는 청결상태(따하라)가 의무사항이 됩니다. 그리고 다른 많은 경우에 청결상태(따라하)는 권장사항이 됩니다. 그 예로는, 꾸란을 만지지는 않고 읽기만 할 때, 기도(두아)를 할 때, 잠을 자기 전 등이 있습니다.


  • 따라서 무슬림은 예배를 드리고자 할 때 다음 두가지 사항으로부터 자유로운 청결상태(따하라)에 있어야 합니다 :
    • 1

      오물 (나자사)


    • 2

      불결상태 (하다쓰)

하나님께서는 무슬림에게 내면의 청결, 즉 우상숭배나 마음의 병으로부터의 청결을 명령하셨고 외부의 청결, 즉 외부로 드러나는 금지된 것이나 오물로부터의 청결을 명령하셨습니다. .